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정규화 라플라시안 행렬
- 총 수요 곡선
- Curse of dimensionality
- spectral clustering
- 분위수 회귀
- 수입 극대화
- 소득승수
- Machine Learning
- 미시경제학
- 이항관계
- 거리 집중
- 라플라시안 행렬
- k-최근접 이웃
- laplacian matrix
- 전순서
- 지시함수
- 케인즈의 십자가
- 독점 기업의 수입 극대화
- 동치 관계
- 수요의 가격탄력성
- 부분 순서
- normalized laplacian matrix
- pinball loss
- 한계 수입
- 차원의 저주
- 핀볼 로스
- quantile regression
- distance concentration
- 스펙트럴 클러스터링
- 동치류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이항관계 (1)
데이터 낚시꾼
집합(set), 이항 관계(binary relation), 동치 관계(equivalence relation), 순서 관계(order relation), 함수(function)
집합(Set): 명확히 정의된 객체들의 모임원소(element): 집합의 객체주요 개념 및 표기\( a \in A \): \( a \)는 집합 \( A \)의 원소이다.\( A \subseteq B \): \( A \)는 \( B \)의 부분집합이다.\( \emptyset \): 공집합멱집합 \( \mathcal{P}(A) \): 집합 \( A \)의 모든 부분집합의 집합곱집합 \( A \times B = \{(a, b) \mid a \in A, b \in B\} \)집합 연산 \[ \begin{align*} A \cup B &= \{x \mid x \in A \text{ 또는 } x \in B\} \\ A \cap B &= \{x \mid x \in A \text{ 그리고 } x \in B\} \\..
수학/수학의 기초
2025. 4. 28. 23:31